HOME | Contact Us
    사랑방
    생활자료실
    한자 교실
    시 공부방
    역사정보교실
방문자
668
774
3,628
1,045,487
 
>> > 좋은 글방 > 한자 교실
 
작성일 : 09-07-28 04:31

漢文工夫(242)회
 글쓴이 : 김병린
조회 : 1,110  
積德 家族들에게

   他人(타인)에게 無禮(무례)한 行爲(행위)를 일삼는 것은 타인을 無視(무시)해서가 아니라 결국 자신을 무시하는 행위입니다. 금주는 서로 尊敬(존경)하는 人間關係(인간관계)를 이루도록 최선을 다 합시다.

   금주는 '나눔의 힘'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누구나 자신 만의 재능과 열정, 희망, 꿈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그러한 것들이 오직 자신 만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함께 나누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나누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나누는 삶을 살 때 우리는 하늘로부터 더 많은 축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야 말로 당신이 가진 것을 아낌없이 주고 나누시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인간과 피조만물을 창조하셨다는 것은 당신의 창조력과 생명력을 나누어 주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로 서로 삶을 나누고, 서로서로를 위해 투입하며 서로서로 함께 시간을 보냄으로써 우리가 속해 있는 공동체는 더욱 건강해질 것이고, 구성원 각자는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나누는 삶이란 결국 서로서로를 축복하는 삶입니다.

   나눔의 의미를 어떤 분들은 "가진 것이 없는데 어떻게 나눌 수 있습니까?" 라고 물어봅니다. 나눈다는 것은 물질적인 것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환한 웃음을 보여주는 것, 격려의 마음을 담아 안아주는 것,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하는 것 등을 통해 심정과 마음을 나눌 수 있습니다.

   또 어떤 분들은 "나누는 삶을 살지만 어떤 것도 얻지 못한다면 왜 나누어야 합니까?"라고 반문합니다. 우리는 나누는 삶 자체만으로도 우리들이 얻을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인격적인 성숙, 고결함, 그리고 연민의 정 등입니다. 인생을 살며 이러한 성품을 얻게 된다면 하나님께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하나님을 닮게 될 것입니다.

   "저의 삶 자체도 바쁜데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며 살 수 있습니까?"라고 말 하는 분도 있습니다. 바쁜 삶을 살고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우리는 나누고 배려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함께하는 사람들이 성장한다면 우리의 짐은 더욱 줄어들 것입니다.

   나눔의 성공을 간단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국의 삼성은 핸드폰을 디자인하고 중국의 공장에서 싼 가격으로 핸드폰을 대량 생산합니다. 두 나라가 이렇게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제품을 생산 할 때, 상호 간에 더 큰 이익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TV에서 동물의 세계라는 프로그램을 보았습니다. 망둥이와 새우의 공생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망둥이는 새우와 함께 집을 공유합니다.

   망둥이는 시력이 아주 탁월합니다. 반면에 새우는 거의 앞을 볼 수 없다고 합니다. 새우는 항상 망둥이를 긴 안테나 같은 것으로 만지고 있습니다. 상어와 같은 위험한 존재가 다가오면 망둥이가 집으로 피합니다. 이 때 새우도 함께 집으로 피합니다. 새우는 집을 같이 쓰고 위험을 피하는 대신 집을 깨끗하게 청소해 줍니다.

  새우와 망둥이는 이렇게 서로서로를 도우며 자연의 세계를 살아갑니다. 서로가 지닌 약점을 보완해 줍니다. 합께 있으므로 서로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나누는 삶을 살 때, 우리가 가진 약점은 보완될 것이고, 장점은 배가 될 것입니다

     今週의 實踐 事項

   "부부는 늙어도 옛날의 인연을 기준으로 일생 동안 한결같은 사랑을 느끼며 살아야 한다"

     蘭皐 詩의 講議

       咸關嶺(함관영)에서

   四月咸關嶺(사월함관영)  北靑郡守寒(북청군수한)  杜鵑今始發(두견금시발)  春亦上山難(춘역상산난)

   해석, 사월이건만 함관령에는 봄이 늦어서, 북청 군수는 아마도 추울 것이다. 진달래 꽃이 이제 겨우 피기 시작했으니, 봄 또한 산이 높아 오르기 어려운 모양이다.

   註=杜鵑: 진달래 꽃.

   내용 설명, 이 지방은 지리적으로 볼 때 북쪽이기도 하지만 높은 산에 둘러 싸여 있는 곳이어서 다른 평지에서는 봄도 한창인 4월 봄철에, 이제야 진달래가 필둥말둥 하고 있는 내용을 시로 읊은 시입니다.

     論語 講議

   孟武伯이 問孝한대 子 曰 父母는 唯其疾之憂시니라(맹무백이 문효한대 자 왈 부모는 유기질지우시니라)

   해석, 맹무백이 효에 대해서 묻자, 공자가 말 하기를, 부모에게는 오직 질병만으로 걱정을 끼치게 해야 한다. 

     漢文工夫(242회)

   虛無主義(허무주의) 虛: 빌 허. 無: 없을 무. 主: 주인 주. 義: 뜻 의, 또는 의로울 의. 

   해석,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가치. 권위. 제도 등을 부정하는 사상이나 경향.

     제 돈으로 술을 먹을지라도 술주정을 할 정도로 먹어서는 안 된다. 술이 취해서 길거리에 실례를 하거나 비틀거리는 것은 자신을 무시하는 정도가 아니라 천시하는 것이다.

   여름에 몸 관리 잘 하기 바라는 爲天 김병린이 보냄. 7월 25일.   




이름 패스워드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비밀글
 
 

Total 2,528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8 [見善從之 知過必改] 김관동 08-10 1245
157 파초설(芭蕉說) 김관동 08-07 1233
156 漢文工夫(243)회 김병린 07-31 1326
155 청선(聽蟬) 김관동 07-31 1101
154 안동 묵계서원 김관동 07-30 1246
153 漢文工夫(242)회 김병린 07-28 1111
152 漢文工夫(240회) 김병린 07-17 1104
151 漢文工夫(241회) 김병린 07-17 1109
150 청관(淸官) 김관동 07-16 1141
149 여운 김관동 07-09 1380
148 김시습 김관동 07-07 1264
147 積德 家族들에게 김병린 07-06 1210
146 漢文工夫(238회) 김병린 06-26 1203
145 漢文工夫(237회) 김병린 06-23 1144
144 漢文工夫(236회) 김병린 06-18 1216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