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Contact Us
    사랑방
    생활자료실
    한자 교실
    시 공부방
    역사정보교실
방문자
563
554
3,628
1,043,853
 
>> > 좋은 글방 > 한자 교실
 
작성일 : 21-07-01 04:19

사유오장(仕有五瘴)
 글쓴이 : 김관동
조회 : 233  

사유오장(仕有五瘴)


북송 때 매지(梅摯·994~1059)가 소주(韶州) 자사로 있으면서 장설(瘴說)’을 지었다.

()’은 남방의 풍토병을 일컫는 말이다.

글에서 그는 지방관의 다섯 가지 풍토병(仕有五瘴)에 대해 말했다.

 

첫째는 조부(租賦) 즉 세금 거두기의 병통이다.

 

急催暴斂(금최폭렴) 다급하게 재촉하고 사납게 거둬들여,

剝下奉上(박하봉상아랫사람에게서 착취하여 윗사람에게 가져다 바친

 

윗사람은 밑에서 바치는 양의 많고 적음에 따라 능력 평가 기준으로 삼는다.

백성의 삶이 피폐해지는 것이 잠깐이다.

 

둘째는 형옥(刑獄)의 병통, 법 집행이 공정치 않아 생기는 문제다.

 

深文以逞(심문이령무슨 말인지 모를 법조문을 멋대로 들이대

良惡不白(양악불백선악을 제대로 밝혀내지 못한다.

 

의도를 갖고 법을 임의로 적용하니 옳고 그름이 밝게 드러날 리 없다.

진실이 뒤바뀌어도 바로잡히지 않으면, 다음부터는 뇌물과 협잡이 횡행한다.

 

셋째는 음식의 병통이다.

 

昏晨酣宴(혼신감연) 새벽부터 밤까지 질탕하게 취해

弛廢王事(이패왕사) 노느라 나랏일을 저만치 밀쳐둔다.

 

그 사이에 처리해야 할 일은 적체되고, 백성들이 갈피를 잃고 우왕좌왕하는 사이에 질서가 붕괴되고 기강이 무너진다.

 

넷째는 재화(財貨)의 병통이다.

 

侵牟民利(침모민리) 백성의 이익을 침해해서

以實私儲(이실사저) 자기 주머니를 채운다.

 

나랏일을 하면서 사익을 채우려는 심보는 고금을 떠나 늘 문제다.

 

다섯째는 유박(帷薄), 즉 남녀 문제로 생기는 병통이다.

 

盛揀姬妾(성간희첩) 비첩을 잔뜩 가려,

以娛聲色(이오성색소리와 여색을 즐긴다.

 

권력의 힘으로 여색에 빠지면 답이 없다.

이렇게 다섯 가지 병통을 지적한 뒤 글을 마무리했다.

 

이 중 하나만 있더라도 백성이 원망하고 귀신이 노하니, 편안하던 자가 반드시 병들고, 병든 자는 틀림없이 죽고 만다. 벼슬하는 자가 이를 알지 못하고, 풍토병에다 허물을 돌리곤 하니, 또한 잘못이 아니겠는가?”

송나라 때 부홰(傅翽)가 전임자인 유현명(劉玄明)에게 치민(治民)의 요결을 물었다.

유현명은 당시 치적이 천하 제일이란 명성이 있었다.

그가 말했다.

 

내게 기묘한 방법이 있소.

하루에 밥 한 되만 먹고 술은 마시지 말 것, 이것이 으뜸가는 계책이라오.”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2021.07.01 03:00

조선일보




이름 패스워드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비밀글
 
 

Total 2,528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83 공유지의 비극 김관동 07-30 583
2482 수처작주 (隨處作主) 김관동 07-29 418
2481 경경위사 (經經緯史) 김관동 07-22 236
2480 망서지방 (忘暑之方) 김관동 07-15 311
2479 일각장단 (一脚長短) 김관동 07-08 235
2478 사유오장(仕有五瘴) 김관동 07-01 234
2477 사사무은 (事師無隱) 김관동 06-24 317
2476 사청사우 (乍晴乍雨) 김관동 06-17 231
2475 불삼숙상 (不三宿桑) 김관동 06-10 257
2474 행불리영 (行不履影) 김관동 06-03 247
2473 빈환주인 (頻喚主人) 김관동 05-27 256
2472 녹동백이 (綠瞳白耳) 김관동 05-20 229
2471 다창파수 (茶槍破愁) 김관동 05-13 420
2470 마이동풍 (馬耳東風) 김관동 05-06 250
2469 미음완보 (微吟緩步) 김관동 04-30 254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