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Contact Us
    사랑방
    생활자료실
    한자 교실
    시 공부방
    역사정보교실
방문자
778
826
3,628
1,046,423
 
>> > 좋은 글방 > 시 공부방
 
작성일 : 21-03-10 19:48

돌아가는 것 - 이영광(1965년∼)
 글쓴이 : 김수현
조회 : 165  

          돌아가는 것



- 이영광(1965년∼)



요 몇 해,
쉬 동물이 되곤 했습니다

작은 슬픔에도 연두부처럼
무너져 내려서,
인간이란 걸 지키기 어려웠어요

당신은 쉽습니까
그렇게 괴로이
웃으시면서

요 몇 해,
자꾸 동물로 돌아가곤 했습니다

눈물이라는 동물
동물이라는 눈물

나는, 돌아가는 것이었습니다



사람’이라는 말과 ‘인간’이라는 말은 같지만 다르다.
사람이라는 단어에는 따뜻한 피와 다정한 눈빛이 담겨 있다.
더 생각하면 각양각색의 표정마저 떠오르고 마는.
사람이라는 말은 우리 모두를 품어 준다.
그런데 인간이라는 말은 인간과 인간 아닌 것들을 구분하려는 뜻이 강하다.
종으로서의 인간이 다른 유인원들보다 얼마나 뛰어난가.
인간은 로봇보다 얼마나 위대한가.
바로 이런 자부심이 인간이라는 말에 들어 있다.
간단히 말해 사람이 다정한 말, 안아주는 말이라면 인간은 차가운 말, 배척하는 말이다.

우리는 인간으로 태어났지만 죽을 때는 사람이고 싶다.
이런 소망은 이영광 시인의 작품을 읽으면서 지지를 받곤 한다.
시인은 아주 간절히 ‘사람 되기’를 노래하기 때문이다.
때때로 그 노래가 몹시 지치고 어둡게 들리는 것을 보면서 새삼 깨닫기도 한다.
사람이 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구나.

이 시에서도 이야기하듯 사람은 지극한 슬픔과 연민, 눈물과 고통을 안다.
넘어지고 울고 절망의 바닥을 치는 게 사람이다.
나아가 남이 넘어지면 함께 울고 함께 바닥을 칠 줄도 안다.
그래서 힘들다.
사람이 되는 것도 힘들고 계속해서 사람이기는 생각보다 더 힘들다.
종종 “어떻게 사람이 그럴 수 있어”라든가 “나도 사람이야” 같은 말을 듣곤 한다.
어디선가 이런 말을 하고 듣고 결국 낙담하게 될 때 이 시를 읽는다.
시는 사람이기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 있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동아일보

이름 패스워드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비밀글
 
 

Total 3,51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3427 어머니 ― 김남주(1946∼1994) 김수현 03-10 278
3426 사령 - 김수영(1921∼1968) 김수현 03-10 291
3425 그날 - 곽효환(1967∼ ) 김수현 03-10 318
3424 그리운 그 사람 ― 김용택(1948∼ ) 김수현 03-10 233
3423 돌아가는 것 - 이영광(1965년∼) 김수현 03-10 166
3422 14K ― 이시영(1949∼ ) 김수현 03-10 182
3421 봄밤 ― 이기철(1943∼ ) 김수현 03-10 173
3420 아침 식사 - 유자효(1947 김수현 03-10 335
3419 산길 ― 문현미(1957∼ ) 김수현 03-10 222
3418 세상의 모든 울음은 ― 이현호(1983∼ ) 김수현 03-10 287
3417 내 세상은 물이런가 구름이런가 ― 김억(1896∼?) 김수현 03-10 315
3416 분이네 살구나무 ― 정완영(1919∼2016) 김수현 03-10 294
3415 등대 -조창환(1945- ) 김수현 03-10 184
3414 빗소리 ― 주요한(1900∼1979) 김수현 03-10 319
3413 외롭지 않기 위하여 ― 최승자(1952∼) 김수현 03-10 28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