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Contact Us
    사랑방
    생활자료실
    한자 교실
    시 공부방
    역사정보교실
방문자
778
774
3,628
1,045,597
 
>> > 좋은 글방 > 시 공부방
 
작성일 : 21-03-10 13:06

어머니의 귀 ― 김상현(1947∼)
 글쓴이 : 김수현
조회 : 326  

          어머니의 귀

 


― 김상현(1947∼)



하루 종일 누워만 계신 어머니가

오늘은 이런 말을 하신다
“꼭 네가 내 손등을 톡톡치는 것 같아
눈을 떠 보면 네가 없어야” 하신다
쓸쓸함이 눈시울에 가득하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리는
어머니를 부르는 소리일 것이다
불러보는 것만으로 모든 시름과 아픔이 치료되는
기도와도 같은 소리일 것이다

 

 

중세에는 사람이 태어나기 전부터 많은 것이 결정돼 있었다.
 귀족에게서 태어나면 귀족, 천민에게서 태어나면 천민이었다.
밤하늘의 별자리를 바꿀 수 없듯이 사회적 자격과 역할 또한 바꿀 수 없다고 믿었던 시대였다.


우리 이제는 그러지 말자고 시작한 것이 지금의 근대다.

사람으로 태어나면 다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믿은 것이 이 시대의 출발이었다.

그러나 믿음이라는 것이 으레 그러하듯이, 사람이 모두 다 사람이라는 믿음은 때로 허상으로 밝혀지기도 한다.

내가 사람이 아니라 노예같이 느껴질 때 그런 허상의 순간이 찾아온다.

자존감을 지켜야 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실제 행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우리는 사람이어서 수시로 무너진다.

심할 때에는 혼자서 일어나기 쉽지 않다.

누군가 무조건적인 애정을, 기다림을, 믿음을 보여줄 사람이 절실하다.

어머니 같은 사람 말이다.

어머니 같다는 것, 혹은 어머니란 어떤 의미일까.

이 시를 읽으면 알게 된다.

세상 모두가 나를 욕해도 내 편일 사람, 곁에 있기만 해도 위로가 되는 사람.

시인의 어머니는 나이도 많고 건강치 않지만, 그저 그 눈빛만으로도 모든 일을 다 하고 계셨다.

존재만으로도 사랑한다, 괜찮다 말해주는 사람이 어머니 말고 또 계실까.


괜히 사람으로 태어났다는 생각이 들 때면 다른 명약이 필요 없다.

급하면 나도 모르게 부르게 되는 그 이름.

이 땅에 계시든 아니든 어머니를 주문처럼 불러보면 잔잔한 위로가 찾아온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동아일보

이름 패스워드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비밀글
 
 

Total 3,51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3412 우리나라 꽃들에겐― 김명수(1945년∼ ) 김수현 03-10 324
3411 대결 ― 이상국(1946∼ ) 김수현 03-10 301
3410 어머니의 귀 ― 김상현(1947∼) 김수현 03-10 327
3409 빵집 ― 이면우(1951∼ ) 김수현 03-10 241
3408 사람이 사람에게 ― 홍신선(1944∼ ) 김수현 03-10 309
3407 별의 아픔 ― 남궁벽(1894∼1921) 김수현 03-10 171
3406 달 ― 문인수(1945∼ 김수현 03-10 284
3405 나막신 ― 이병철(1921∼1995) 김수현 03-10 177
3404 시 ― 나태주(1945∼ ) 김수현 03-10 321
3403 육사(陸史)를 생각한다 ― 신석초(1909∼1975) 김수현 03-10 175
3402 무엇이 그리하게 하는가 ― 인태성(1933∼2015) 김수현 03-10 194
3401 하늘과 땅 사이에 ― 김형영(1945∼ ) 김수현 03-10 314
3400 시래기국 ― 황송문(1941∼) 김수현 03-10 247
3399 제주바다 1 ― 문충성(1938∼2018) 김수현 03-10 290
3398 쓸쓸한 시절 ― 이장희(1900∼1929) 김수현 03-10 24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