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Contact Us
    사랑방
    생활자료실
    한자 교실
    시 공부방
    역사정보교실
방문자
1,968
933
3,628
1,051,487
 
>> > 좋은 글방 > 사랑방
 
작성일 : 25-01-13 05:11

白骨觀
 글쓴이 : 김관동
조회 : 202  

白骨觀

한남동에 난데없이 백골단이 등장했다.

파격적인 작명이다.

작명은 예상을 깨는 파격적인 느낌을 줄 때 노이즈 마케팅이 된다.

사람마다 기존에 입력된 정보와 지식에 따라서 어떤 단어를 접할 때 떠오르는 이미지가 각기 다르다.

‘백골(白骨)’이라는 단어를 접하는 순간 나의 뇌리에는 여러 가지 이미지가 떠 올랐다.

첫째가 백골관(白骨觀)이었다.

백골관은 원시 불교 때부터 했던 도 닦는 방법이었다.

불교 이전에 힌두교나 요가 수행자들도 했던 수행법이기도 하였다.

백골을 옆에 두고 항상 바라보고 손으로 만져보기도 하는 방법이다.

인간의 욕심, 분노, 집착을 떼는 데는 효과적이다.

내가 아는 어떤 도사도 항상 머리맡에 사람 해골바가지를 두고 잠자기 전에 108번을 손으로 쓰다듬는 것이 일과였다. “해골은 어디서 구했냐?”

“공동묘지에서 하나 굴러다니기에 집으로 가져왔다.

해골을 손으로 만질 때 내가 살아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생사일여(生死一如)의 이치가 이 해골에 있다.

원효 대사도 해골바가지 물 먹고 깨쳤다”.

좀 더 과격한 백골관은 사람 시체 옆에서 1~2년 생활하는 것이다.

매일 시체가 썪는 냄새도 맡고, 점차 부패해서 백골만 남는 전 과정을 지켜보면서 명상에 잠긴다.

“결국 백골만 남을 것을!

이 몸뚱이 가꾼다고 건강검진 열심히 받고, 영양제 먹고, 줄기세포도 하고, 피부 마사지 받느라고 돈 많이 썼구나!”

신라의 자장율사(590-658)가 이 백골관을 해서 깨침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강원도 영월 법흥사에 가면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이 있다.

적멸보궁 뒤편에 가면 입구가 좁은 둥그런 형태의 석분(石墳)이 있다.

언뜻 보면 무덤같이 생겼다.

자세히 보면 조그만 입구가 있다.

기어서 들어가야 하는 이 좁은 공간의 석분은 자장율사가 들어가서 백골관을 닦았던 수행터가 아니었나 싶다.

깎아지른 절벽 200~300미터 꼭대기에 있는 메테오라의 그리스 정교 수도원들.

외부 세계와 철저한 단절을 위해 이 절벽 꼭대기에 수도원을 지었다.

건물 입구 들어가는 현관 신발장 같은 곳에 사람 해골 30~40개가 차곡차곡 진열되어 있는 모습을 보고 감명을 받은 적이 있다.

건물에 들어가는 사람 누구나 볼 수 있는 위치에 해골이 놓여 있었다.

그 수도원에서 도 닦다가 죽은 선배 수도사, 수도원장들의 해골이었다.

‘기독교 수도사들도 백골관을 했구나’를 알게 되었다.

유럽 문화에 깊이 박혀 있는 ‘메멘토 모리’(너의 죽음을 기억하라)의 심벌은 백골이었다.


이름 패스워드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비밀글
 
 

Total 14,298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298 MBK의 멧돼지 관상 김관동 03-24 70
14297 한국 조선업의 運 김관동 03-17 101
14296 後天開闢(후천개벽)과 기독교 김관동 03-10 129
14295 악플에 버티는 내공 김관동 02-25 168
14294 농민군 관상 김관동 02-11 197
14293 뱀의 해, 뱀 지팡이 김관동 02-03 176
14292 상명(床銘) 김철동 01-29 203
14291 조선후기 서울 도성안의 겨울나기 김철동 01-28 229
14290 白骨觀 김관동 01-13 203
14289 동물이 神이었다 김관동 01-06 225
14288 한국의 國運 김관동 12-10 288
14287 천후산(天吼山), 울산바위의 사연 총무이사 12-03 320
14286 죽설헌의 새소리 총무이사 11-25 359
14285 사자상 트럼프 김관동 11-11 341
14284 전쟁과 신탁 김관동 11-05 330
 1  2  3  4  5  6  7  8  9  10